중앙대병원 김지택 교수팀, 당뇨망막병증 시세포 변성 연관 인자 규명..."당뇨병 환자 시력저하 원인 찾았다"
중앙대병원 김지택 교수팀, 당뇨망막병증 시세포 변성 연관 인자 규명..."당뇨병 환자 시력저하 원인 찾았다"
2022.06.22 16:56 by 임한희
중앙대병원 안과 김지택 교수
▲중앙대병원 안과 김지택 교수

[더퍼스트 임한희 기자] 국내 30세 이상 성인의 약 15%, 65세 이상 성인 약 30%가 당뇨병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당뇨병의 대표적인 안과 합병증인 ‘당뇨망막병증’으로 인한 시력 저하나 실명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당뇨병 환자 중 ‘당뇨망막병증’으로 인한 시력 저하가 발생한 원인을 규명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22일 중앙대학교병원(병원장 이한준) 안과 김지택 교수팀에 따르면 최근 당뇨망막병증 눈에서 시세포 밀도와 망막 및 맥락막 모세혈관 밀도의 연관성을 규명한 연구 논문(CORRELATION OF PHOTORECEPTOR INTEGRITY WITH RETINAL VESSEL DENSITY AND CHORIOCAPILLARIS IN EYES WITH DIABETIC RETINOPATHY)을 발표했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의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시력 저하나 실명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인데, 당뇨망막병증이 생기는 원인은 지속적인 고혈당으로 인한 만성 염증반응에 의한 것으로 특히 망막 모세혈관의 변성 때문이다.

보통 정상적으로 사람의 시력은 빛을 선명하게 받아들이는 망막 중심부인 황반 부위의 시세포 밀도와 직접적으로 상관관계가 높은데, 황반변성에서 시력이 떨어지는 이유도 황반 시세포의 변성 때문이고 당뇨 황반부종에서 시력이 떨어지는 이유도 황반 부위의 시세포 변성 때문이다.

김지택 교수팀은 안구광학단층촬영(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및 광학단층-혈관조영술(OCT Angiography) 검사를 시행한 당뇨망막병증 환자 159명과 3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황반부의 ‘시세포 밀도’와 ‘망막 및 맥락막 모세혈관 밀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팀은 황반 중심부와 황반 주변부에서 표층부 및 심층부 모세혈관총과 맥락막 모세혈관층(Superficial and Deep Capillary Plexus)에서 분석한 9가지 주요 인자들을 분석한 결과, 당뇨망막병증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황반부 무혈관 부위(FAZ; Foveal Avascular Zone)의 크기’는 확대되고, ‘황반 심층부 모세혈관총(DCP; Deep Capillary Plexus)의 혈관 밀도(Vascular Density)’는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맥락막 부위의 모세혈관 또한 시세포 밀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나 보수적인 관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기 힘들었다. 

시세포는 색깔과 명암을 인식하며 망막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데, 해부학적으로 시세포는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확산을 통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다고 볼 때 맥락막 모세혈관 밀도와 가장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야 했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광학단층-혈관조영술 촬영의 투사 효과에 의한 한계로, 이번 연구에서는 밀접한 연관성을 확인하기 힘들었다.

이로써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당뇨망막병증이 있는 환자의 시력 저하에 황반부 무혈관 부위의 크기와 황반 심층부 모세혈관총 혈관 밀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했다.

중앙대병원 안과 김지택 교수는 “망막 중심부인 황반은 투명하고 명확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황반 중심부에는 모세혈관이 존재하지 않는 소위 ‘무혈관 부위’가 존재하는데, 원래는 투명하고 뚜렷한 상을 맺기 위함이지만 당뇨망막병증 환자에게서는 모세혈관이 변성되면서 ‘황반의 무혈관 부위’가 확장된다”며, “생리적으로 무혈관 부위가 생긴 것이지만 당뇨병 환자에게는 시력 손상의 빌미가 된다”고 말했다. 

이어 김지택 교수는 “당뇨망막병증에서 시세포 변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당뇨 진단 초기부터 적극적인 당뇨 조절과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이미지 분석 오류를 피하기 위해 황반 부종 환자를 배제하였지만, 당뇨망막병증에서 시세포 변성을 유발하는 가장 주요한 인자는 황반부종이며, 황반부종이 있는 경우 진단 초기에 적극적으로 주사 치료를 받는 것이 시세포 변성으로 인한 실명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지택 교수팀의 이번 연구 논문은 망막 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인 망막 저널(Retina journal; Impact factor 4.256) 최근호에 게재됐다.

 

필자소개
임한희

산업경제부 국장. 중석몰촉 <中石沒鏃>


The First 추천 콘텐츠 더보기
  • “당신의 눈꺼풀을 무겁게”…‘꿀잠’에 도전하는 스타트업
    “당신의 눈꺼풀을 무겁게”…‘꿀잠’에 도전하는 스타트업

    지난해 불면의 밤을 버티지 못해 병원까지 찾은 사람이 116만 명에 이른다. 잠 못자는 고통에 더해 만성피로, 두통, 인지기능 저하까지 겹쳐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슬립테크’, ...

  • “올 겨울 춥다던데, 내 차 타이어 언제 갈았더라”…‘차봇’으로 겨울철 차량관리 한번에
    “올 겨울 춥다던데, 내 차 타이어 언제 갈았더라”…‘차봇’으로 겨울철 차량관리 한번에

    앱 하나로 차량 정비, 애프터케어 등 23여개의 서비스를!

  • “상담원도 되고, 동료도 되는 AI”…투자사 ‘매쉬업엔젤스’ 매료시킨 AI 스타트업은?
    “상담원도 되고, 동료도 되는 AI”…투자사 ‘매쉬업엔젤스’ 매료시킨 AI 스타트업은?

    젠아, 하피챗...글로벌 시장 선도할 게임체인저 될까?

  • “가전제품 렌탈에도 혁신은 필요하니까”…‘렌트리’, 다성벤처스 등으로부터 26억원 투자 유치
    “가전제품 렌탈에도 혁신은 필요하니까”…‘렌트리’, 다성벤처스 등으로부터 26억원 투자 유치

    매월 15% 이상 성장, 누적 거래액 300억 원 달성한 렌탈 플랫폼

  • “전기차 붐은 온다”…충전인프라‧배터리 솔루션 봇물
    “전기차 붐은 온다”…충전인프라‧배터리 솔루션 봇물

    전기차 밸류체인을 가진 스타트업들의 활약이 뜨거워진다.

  • ‘언택트’ 넘어 ‘언맨드’…“매장에서 사람을 지워라!”
    ‘언택트’ 넘어 ‘언맨드’…“매장에서 사람을 지워라!”

    ‘키오스크’(kiosk‧무인 주문 기계) 전성시대다. 이는 매장 무인화가 이미 글로벌 메가 트렌드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무인화 서비스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다....

  • “11월은 달린다!”…블랙프라이데이 맞는 스타트업의 기세
    “11월은 달린다!”…블랙프라이데이 맞는 스타트업의 기세

    올해 블랙프라이데이에서 주목해봐야 할 스타트업은?

  • “클래식 시장의 새 바람 통했다”…아트 스타트업 ‘원아트’, 성남여성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 수상
    “클래식 시장의 새 바람 통했다”…아트 스타트업 ‘원아트’, 성남여성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 수상

    올해 창업진흥원 예비창업패키지 선정에 이은 두 번째 영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