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증권은 12일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 2,847억원, 세전순이익 2,726억원, 지배주주 순이익 1,918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분기 대비 +21.2%, -2.9%, +8.3% 증감했다고 밝혔다.
기준금리 인상과 시장의 변동성 증가에 따른 개인 및 기관 증시 자금 이탈로 일평균 거래대금 규모가 20조원이 안될 정도로 둔화 된 시장 상황 속에서도 해외 주식 잔고가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내며 이번 분기에도 0.2조원 늘어난 24.9조원을 기록했다.
연금 잔고 또한 1조원 증가해 25.4조원을 기록하면서 단순 브로커리지 수익 구조에서 벗어나 수수료 기반(Fee-Based)의 수익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자리 잡았다.
기업금융 부문 수수료 수익 또한 전분기 대비 +91.7% 증가했고, 채무보증수수료 +81.4%, 인수주선수수료와 PF/자문수수료가 각각 전분기 대비 +169.6%, +47.4% 증가했다.
기업여신수익도 227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1.2%를 기록하며, IB부문은 총 1,287억원의 수익을 달성했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정책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FY2020부터 이뤄졌던 자사주 매입과 소각의 연장선 상에서 올해도 자사주 2,000만주에 대한 소각을 단행했으며, 자사주 1,000만주(약 857억원)에 대한 매입을 1분기에 시작해 4월 중순에 완료했다.
취득한 자사주는 향후 경영 상황 등을 고려해 주식 소각 등의 다양한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COVID-19의 지속 및 금리 인상 기조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된 글로벌 증시 속에서 2022년의 영업 환경은 우호적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하지만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통해 차별화된 실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주주환원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